큐베이스

큐베이스 인터페이스 기능 기초 설명

@!@ 2018. 5. 19. 05:12

안녕하세요 감성메카입니다~ 저번시간에 큐베이스 기본 셋팅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큐베이스 인터페이스 기능과 기초적인 기능들에 대해서 어떻게 화면이 구성 되어있으며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전반적인 기능들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~





특히 큐베이스 상단 메뉴바들의 아이콘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모른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초보자 분들이라면 한번씩 보시고 알아두시면 유용할것 같습니다 아래 그림 설명을 통해서 차근차근 알아보시길 바랍니다^^







1. 프로젝트 이동

 

가장먼저 위 그림에서 표시되었듯이 Activate project 버튼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이것은 여러 프로젝트가 모두 열려있을때 해당 프로젝트를 이동해가면서 듣고 싶을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큐베이스는 한번에 한개의 프로젝트만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프로젝트를 왔다갔다 할때 이용하게 됩니다~




2. 라인 정보 알아보기


다음으로는 Set up window layout 으로 각 라인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~






먼저 inspector 라는 옵션을 체크하면 오디오 트랙을 만들때 여러가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인풋과 아웃풋 , 믹싱플러그인 , 이퀄라이저 , send, 메모 등 여러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해보실 수 있습니다!





다음으로 status line 이 있는데요 이 기능은 프로젝트의 상황을 보여주는 기능입니다 맨 처음 포스팅을 보셨다면 project set up 시 샘플레이트와 비트 설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해당 값들을 여기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~





다음 info line 항목은 위 그림에서 표시된것처럼 오디오트랙을 하나 만든다고 했을때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지 정보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릭과 같이 4마디에서 시작해서 19마디에 끝나는 것을 알 수 있고 길이는 15마디가 표시되어 있죠 ㅎㅎ 물론 이름도 바꿀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~






다음은 마지막 overview line 입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는 것처럼 바가 하나 생기게 되는데요 여기에다가 마우스를 올려놓고 좌우로 드래그 해주시면 마디를 확대 축소 하면서 트랙을 쉽게 볼 수 있게 해줍니다 트랙 길이가 긴 경우 이용해주시면 유용합니다 !




3. 오토스크롤 기능



그다음에 있는 것은 오토스크롤 인데요 플레이되고 있는 지점이 위 그림과 같이 73 마디 이후로 넘어가서 보이지 않게 되었을때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서 계속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만약 오토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 시켰다면 플레이지점이 넘어가도 화면이 바뀌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되겠지요~




4. 트랙 처음과 끝 이동


그다음 위 그림처럼 표시된 버튼은 트랙의 처음과 끝을 쉽게 이동하게 해주는 기능이 되겠습니다




5. 무한프 (반복재생)


그리고 루프 기능 같은 경우 마크표시로 잡혀져 있는 부분을 반복 재생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!




6. 오디오 길이 속도 조절



다음은 subject selection 버튼을 눌러보시면 normal sizing 버튼이 있는데요 이 기능을 이용하면 오디오 트랙의 앞부분을 날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원하는 부분만큼 드래스 하셔서 뒷부분부터 나오게 하실 수 있습니다~




 


다음은 sizing moves contents 항목이 있는데요 이 기능은 뒷부분이 잘리게 되는 기능입니다~ 앞서 설명드린 normal sizing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~





마지막으로 sizing applies time stretch 인데요 영상 속도 길이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잘리는 것이아니고 속도가 빠라지고 느려지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 속도를 조절할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~




7. 오디오 구간 선택 및 자르기 / 합치기


다음 기능으로 Range selection 버튼이 있습니다 이것은 해당 오디오트랙 구간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인데요 위 그림과 같이 해당 구간을 드래그로 선택해주실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키보드 Del 키를 누르시면 삭제도 되니 유용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~





다음은 split 이라는 기능입니다 오디오트랙을 자를 수 있는 기능인데요 해당 구간별로 잘라준다음 역시 키보드 Del 키를 눌러서 부분적으로 잘라주실 수 있습니다~




다음은 glue 버튼을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오디오 사이가 떨어져 있을때 글루 버튼을 눌러서 해당 오디오 트랙을 하나로 붙일 수 있는 기능입니다!




다음은 트랙 삭제 기능과 비활성화 기능입니다 삭제는 말그대로 해당 구간을 삭제하는 것을 말하고 비활성화는 지우지는 않고 해당 트랙을 꺼두는것을 뜻합니다~




8. 음량 조절 


다음은 sine 항목을 눌러보시면 라인 형상별로 음량조절을 해주실 수 있습니다 직접 라인을 그려주시거나 기본설정 되어 있는 형상을 가져오셔서 볼륨 항목에 넣어주시면 라인 형상대로 볼륨 크기가 조절됩니다~




 9. 재생방법 (되감기 / 빨리감기)


다음으로 scrub 버튼이 있는데요 트랙을 오른쪽으로 누르고 있으시면 정상재생이 되지만 왼쪽으로 누르고 계시면 반대로 재생되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해서 되감기와 빨리감기 기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ㅎㅎ




10. 원하는 박자나 음정에 맞춰서 트랙 이동하기


다음은 grid 인데요 이것은 마디마디 마다 트랙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자유롭게 트릭을 이동하는것이 아닌 지정된 박자로 트랙을 이동하고 싶을 때 사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옆에 Beat 항목과 Bar 항목이 있는데요 Bar 항목은 마디마다 움직이는것을 뜻하고 Beat는 각 비트마다 움직이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옆에있는 1/4 표시는 음표를 뜻하는 것이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~





그리고 Magnetic Cursor 기능이 있는데요 해당 플레이 표시 부분에 트랙을 끌어서 갖다 대면 딱 달라붙게 하는 기능입니다 트랙을 딱맞게 이동할때 유용한 기능이니 알아두시면 좋겠죠 ㅎㅎ


이밖에도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는데요 중요한 기능만 모아봤고 더 자세한 큐베이스 단축키 들을 아래에서 정리해보았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 


[큐베이스 기본 단축키]

구간 반복 : /

녹음 : *

되감기 : -

빨리감기 : +

재생 및 정지 : spacebar

트랙 확대 : H

트랙축소 : G